옥스퍼드 중국사 수업: 2. 최초의 제국- 진나라/한나라
2장 최초의 제국: 진나라(B.C. 221~206)/한나라(B.C. 206~A.C, 220)
1. 진秦나라
발달
*중원의 서쪽 변방에서 힘을 길러 법가적 시스템으로 문명을 발달시킨 진나라.
*본격적으로 국력이 강화된 것은 361년 위衛나라에서 도망쳐 온 젊은 상앙이 왕권 강화와 중앙 집권 확립을 위해 개혁: 봉건적 세습 특권 폐지, 업무성과에 따른 보직, 엄격한 법률 시행.
*기원전 338년경엔 이미 전국 시대의 영토와 인구 30%에 달하는 가장 부강한 나라
진시황제와 승상이사
*진나라 왕 정政과 승상 이사: 진나라로 전국시대를 통일하여 최초의 제국을 만든 인물
*진나라 왕 정政: 기원전 246년 불과 13세의 나이에 왕위 계승, 당대 배후의 실력자 여불위가 정의 아버지라는 주장이 있으나 근거는 없음.
정은 22세에 실권을 거머쥐고 문무관료들은 15년 동안 신속하게 대외 정복 사업을 벌여 전국을 통일하고 마지막으로 연나라의 남쪽에 위치한 소국 위나라를 정복하여 당대 문명세계를 통일하고 진나라의 최초 황제, 즉 진시황제秦始皇帝로 등극.
*승상 이사: 남쪽의 초楚나라에서 관직을 하다 정이 권좌에 오를 무렵 진나라로 와서 정과 여불위의 야망에 대해 조언을 함. 그 뒤 정위廷尉가 된 이사는 진시황제가 전국을 통일한 이후에는 황제 다음으로 높은 승상丞相 이사로 등극, 국가 통합을 위해 정복한 나라를 대상으로 일련의 개혁을 실시.
*전국 시대 여러 나라 화폐와 도량/전차와 수례의 축/공도 등이 진나라 것으로 통일 - 유럽이 2000년 뒤에도 도달하지 못할 수준으로 규격화
*남/북중국을 연결하는 대운하와 성벽을 수리하여 국경에 장성을 건설.
*중앙 집권적 통치, 즉 군현제 실시, 엄격한 처벌이 포함된 법을 실행.
*유가 계열 역사가들은 진시황제가 B.C. 212년 유학자 460명을 생매장하고 문헌을 불태웠다고 주장했으나 신빙성이 없음. 당시 석각을 검토해 보면 진나라에서는 유가의 주장대로 주나라 초기 예법에서 비롯된 조정 의례와 음악에 큰 관심을 보이는 등, 파괴보다는 수용/종합했다고 추정하는 것이 합리적임.
*진나라의 국가운영은 현재 기준으로 과도한 측면이 없다고 할 수는 없으나 그 이후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그 뒤를 이은 모든 왕조가 제도적 전범으로 삼을 만큼 체계적인 중앙 집권적 관료제 국가를 창조했으며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랜 시간 동안 존속.
*기원전 210년 진시황제가 죽고 진나라는 급속히 붕괴, 내전이 발발하고 지방 분권적 봉건 제도가 부활.
2. 한漢나라
한나라 건국, 유방
*반란 세력 지도자 - 항우項羽 vs. 유방劉邦 : 항우는 귀족 출신으로 똑똑하며 옛 귀족들의 바람대로 半독립적 제후를 위한 봉건 국가를 세우길 희망, 유방은 농민 출신이지만 걸출하고 똑똑한 전략으로 진나라의 요충지를 차지, 인재를 적극 영입해 202년 항우의 군대에 결정적인 패배를 안김. 중국사를 통틀어 농민 출신으로 황제가 된 사람은 유방과 명나라의 주원장 뿐임.
*유방은 자신의 국가, 한나라의 정당성을 알리기 위해 진시황제와 똑같이 봉선의식을 거행, 창안의 북서쪽에 수도를 건설하고 진나라의 제도를 계승.
*제국의 3분의 1의 영지를 직할지로 다스리고, 나머지는 형제, 아들, 그리고 믿을만한 장군들에게 분봉하여 半독립적으로 다스리는 방식 = 주 왕조 초기의 봉건제는 영원히 사라짐
*기원전 195년 유방이 죽으며 15세 아들에게 왕위를 계승했고, 유방의 아내이자 새로운 왕의 어머니 여후呂后가 직접 대권을 장악. 유가 역사가들은 무자비한 여성의 권력 남용에 대해 비난 해왔으나, 그녀는 한 왕조가 북서쪽 변방의 흉노의 위협에 직면했을 때 안정된 지도력으로 나라를 위기에서 구한 걸출한 정치가였음. 여후가 죽고 한 왕조는 다시 유씨 가문에게 돌아갔으나, 여후는 그 뒤로도 여성이 제국의 황궁에서 권력을 휘두르면 심각한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는 본보기로 유가 역사가들에게 인용되고 있음.
흉노족과 한무제
*한 왕조시기의 가장 심각한 위협은 흉노로, 흉노족은 진나라가 전국을 통일 할 무렵 묵돌 선우單于에 의해 하나로 통합. 진나라와 한나라에 장성을 연결하여 흉노를 초원에서 몰아내고 땅을 더 차지하려 했고 묵돌 선우는 힘을 모아 침입하여 약탈을 일삼았기에 한나라 초기 조정은 전쟁을 피하기 위해 비단, 금, 곡물등을 선물로 보내고, 한나라 공주를 묵돌 선우에게 시집 보냄.
*기원전 145년 한무제武帝가 황위에 올라 군사력을 증강, 대대적 말 사육을 감행하여 기원전 134년에는 흉노에 대한 군사 원정.
*흉노를 중앙 아시아로 완전히 몰아내고 방어선을 구축, 공물도 보내지 않고 이는 한나라와 외부세계의 관계, 더 나아가 그 뒤에 있을 중국과 유목 민족의 관계에 엄청난 변화를 가져옴.
*중국은 장벽 너머의 야만적인 유목 민족의 것과 자신의 문명이 다르다는 우월의식을 갖게 되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그들의 문화 가운데 수많은 요소를 한족의 것으로 흡수(i.e. 기마 전술, 궁술, 음식, 음악, 무용, 복식 등). 그러나 의식적으로는 유목민족의 문화를 배제함.
*중앙 아시아를 관통하는 도로망을 따라 (A.K.A. in 19th C. 실크로드) 로마까지 상품 교역이 번성.
*한무제는 경제, 군사 분야 뿐만 아니라 한나라 최고의 황제로서, 황권을 강화하고 소금, 철, 구리, 술등에 전매 제도를 실시하여 재정을 튼튼히 하고 법가와 유가적 면모를 고루 갖추어 통치이념으로 삼아 인재를 등용함.
*한 무제의 치세 이후, 중국 황제들은 최고의 군 통수권자에만 머물지 않고 문화적인 측면에서도 최고의 지도자가 되었으며 학문과 예술의 대한 제일선의 후원자로 자리매김.
*사마천과 유가 사상의 대표학자 동중서董仲舒
광무제의 동한
*한 무제의 사망 이후, 심각한 탈세 문제로 사회가 분열되고 섭황제 왕망은 권력을 장악하고 신新왕조를 건국했으나 기원후 23년 왕망 사후 2년 뒤 한나라의 유씨 가문에 군대가 왕조를 부활시키고 광무제光武帝를 등극시킴. 그가 수도를 장안에서 뤄양으로 옮긴 기원후 25년부터 220년까지의 시기를 후한 혹은 동한으로 구분.
*동한의 수도 뤄양은 세계에서 로마 다음의 큰 도시로, 고도의 신분제 사회였으나 어느정도 유동적인 사회 구조를 가지고 있었고, 기원후 100년경 종이의 발명으로 교육 방면으로 큰 발전.
*수세기에 걸친 평화와 안정을 바탕으로 인구를 6,000만으로 늘리고, 지역들을 통합하여 광역 경제를 발전시켰으며, 유례없는 큰 번영을 누렸음. 죽은 자를 위한 정교한 무덤뿐 아니라 후한 시대의 엘리트층 가운데 일부는 죽은 조상을 기리기 위한 대규모 사당을 건축.
*당대 높은 유가적 미덕을 드러낸 여성인물로서 아름다운 과부 고행高行은 남성들이 청혼을 하자 자신의 코를 베어 절개를 지킴. 남성주의적 사상이 잘 드러나는 부분.
*중국사를 통틀어 가장 유명한 여성 학자 반소班昭는 아버지와 오빠를 이어 한나라의 역사서인 한서를 집필했으며, 중국 문화사 가운데 가장 유명한 여성 교육용 책자 여계女誡를 집필.
*후한 시대에 황위를 둘러싸고 경쟁을 벌인 가장 강력한 두 세력은 환관과 황태후의 가문. 당시 환관은 거세를 당했지만 수천명의 환관들은 왕의 심복으로서 막강한 권력을 누렸기 때문에 양자를 들이거나 124년은 직접 국정을 장악하기 위해 한 아이를 황위에 앉히려고 시도.
*한 조정은 점점 허약해져 탈세가 심해지고 중앙집권체제가 무너지기 시작, 무장 농민 반란군에 대한 두려움에 농민 징병제를 없애고 자발적 지원자, 죄인, 비한계 유목 이민자등을 직업 군인으로 채용하여 군대를 재편한 결과, 조정보다 장군에게 충성하는 군대가 됨.
*184년 황건적의 난이 발생, 수많은 장군이 독립을 선언하고 야망을 드러냈으며 220년 한 왕조는 공식적으로 멸망함.